반응형
당뇨병 치료는 크게 인슐린 주사와 경구 약물(먹는 약)로 나뉘며, 각 치료법은 환자의 당뇨 유형, 혈당 조절 상태, 생활 습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. 이 글에서는 두 가지 치료법의 특징과 선택 기준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1. 인슐린 치료
인슐린은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필수적이며, 제2형 당뇨병 환자 중에서도 경구 약물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.
✔️ 인슐린의 종류
인슐린 | 종류작용 시간 | 투여 시점 |
초속효성 인슐린 | 15분 내 작용 시작, 2~4시간 지속 | 식전 또는 식사 직후 |
속효성 인슐린 | 30분 내 작용 시작, 5~8시간 지속 | 식사 30분 전 |
중간형 인슐린 | 24시간 내 작용 시작, 12~18시간 지속 | 하루 1~2회 투여 |
지속형 인슐린 | 6시간 내 작용 시작, 24시간 이상 지속 | 하루 1회 투여 |
🔹 장점: 혈당 조절 효과가 즉각적이며, 개인 맞춤형 조절이 가능합니다.
🔹 단점: 주사로 투여해야 하며, 저혈당 위험이 있습니다.
2. 경구 약물 치료
경구 약물은 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되며,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. 각 약물은 작용 기전이 다르며,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단독 또는 병용 요법으로 사용됩니다.
✔️ 경구 당뇨약의 종류
약물 종류 | 대표 약물 | 작용 기전 |
빅아누라이드 계열 | 메트포르민 | 간에서 포도당 생산 억제, 인슐린 저항성 개선 |
설폰요소제(SU계열) | 글리메피리드, 글리클라자이드 |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 촉진 |
DPP-4 억제제 | 시타글립틴, 빌다글립틴 | 인크레틴 호르몬 보호 → 인슐린 분비 증가 |
SGLT-2 억제제 | 다파글리플로진, 엠파글리플로진 | 신장에서 포도당 배출 촉진 |
TZD(티아졸리딘디온 계열) | 피오글리타존 | 인슐린 감수성 증가 |
알파-글루코시다제 억제제 | 아카보스, 미글리톨 | 탄수화물 소화 및 흡수 지연 |
🔹 장점: 간편한 복용 방식과 다양한 약물 조합이 가능합니다.
🔹 단점: 저혈당, 위장 장애,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.
3. 인슐린 vs 경구 약물, 언제 선택할까?
기준 | 인슐린 치료경구 | 약물 치료 |
대상 | 제1형 당뇨병 / 제2형 중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 | 제2형 당뇨병 |
장점 | 즉각적인 혈당 조절, 효과 강력 | 간편한 복용, 다양한 조합 가능 |
단점 | 주사 방식, 저혈당 위험 | 부작용(위장 장애, 체중 증가 등) |
✅ 제1형 당뇨병: 인슐린 필수
✅ 제2형 당뇨병 초기: 경구 약물 우선
✅ 제2형 당뇨병 진행: 경구 약물 + 인슐린 병행 가능
4. 당뇨 치료,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?
- 규칙적인 혈당 체크: 혈당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치료를 유지합니다.
- 올바른 식단 관리 & 운동: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은 혈당 조절에 필수적입니다.
- 의사의 처방에 따른 적절한 약물 조절: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물을 복용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🚀 당뇨 치료는 단순히 약을 먹는 것이 아니라, 생활 습관 개선이 핵심입니다!
반응형
'당뇨스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혈당 수치별 정상 범위 정리 (1) | 2025.02.28 |
---|---|
당뇨병 환자를 위한 저탄수화물 요리 레시피 모음 (1) | 2025.02.28 |
당뇨병 학생을 위한 학교지원 (1) | 2025.02.27 |
당뇨병 환자를 위한 대체당 (1) | 2025.02.15 |
임신성 당뇨병: 증상과 관리(임당 관리) (0) | 2025.02.11 |